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법정에서 자주 쓰이는 말들, 쉽게 이해하기

by Ammunduine 2024. 11. 11.
반응형

⚖️ 법정에서 자주 쓰이는 말들, 쉽게 이해하기 🕵️

법률 용어는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자주 쓰이는 기본 용어를 이해하면 뉴스를 보거나 법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법정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들과 그 상황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법정에서 자주 쓰이는 말들, 쉽게 이해하기
법정에서 자주 쓰이는 말들, 쉽게 이해하기

1️⃣ 고소, 기소, 제소, 피소

고소

고소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범죄자로 신고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 A가 B에게 사기를 당했다고 생각되면 경찰에 고소하여 범죄 혐의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는 것이죠.

  • : "A 씨는 B 씨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기소

기소검사가 정식으로 법원에 범죄 혐의자를 재판에 세우는 것입니다. 고소는 개인이 할 수 있지만, 기소는 검사가 진행해요.

  • : "검찰은 B씨를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

제소

제소법원에 재판을 요청하는 것을 말해요. 주로 개인 간의 분쟁이나 손해배상 청구 같은 일에서 많이 쓰입니다.

  • : "A씨는 B씨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제소했다."

피소

피소누군가에게 고소당하거나 소송을 당한 상태를 말해요. 예를 들어, '손해배상 111억 피소'라는 말은 111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당한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 : "B 씨는 A 씨로부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해 피소됐다."

2️⃣ 소송, 불구속, 구속, 입건, 청구

소송

소송법원에 어떤 분쟁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는 절차입니다. 돈이나 계약과 관련된 문제, 손해배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어요.

  • : "A 씨는 계약 위반으로 B 씨에게 소송을 걸었다."

불구속

불구속범죄 혐의가 있지만 체포하지 않고 자유롭게 수사하는 상태를 말해요. 구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면서 조사를 받게 됩니다.

  • : "B 씨는 불구속 상태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구속

구속범죄 혐의자가 도망가거나 증거를 없앨 위험이 있어서 잡아두는 것을 의미해요. 구속되면 경찰서나 구치소에 머무르며 조사받습니다.

  • : "B씨는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입건

입건범죄 혐의가 인정되어 사건이 공식적으로 접수되는 것을 말해요. 입건되면 정식 수사를 받게 됩니다.

  • : "B씨는 사기 혐의로 입건되었다."

청구

청구법원에 특정한 요구를 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구속영장 청구가 있어요. 수사 기관이 피의자를 구속하기 위해 영장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 : "검찰은 B 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3️⃣ 구속영장

구속영장

구속영장누군가를 구속할 수 있도록 법원에서 허가해 주는 문서입니다. 구속을 하려면 반드시 법원의 허가가 필요해요. 영장이 나와야만 피의자를 체포해서 구속할 수 있습니다.

  • : "검찰은 증거 인멸 우려가 있어 B 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자주 쓰이는 법률 용어 예시

손해배상 111억 피소

  • 해석: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해 111억 원을 물어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피소되었다는 것은 누군가가 111억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며 소송을 걸었다는 의미예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고소와 제소는 어떻게 다른가요?

  • 고소는 개인이 경찰에 범죄 혐의를 신고하는 것이고, 제소는 법원에 분쟁 해결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고소는 범죄와 관련이 있고, 제소는 주로 민사적인 문제와 관련 있습니다.

Q2: 구속과 불구속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구속은 피의자를 체포해 구치소에 수감하는 것이고, 불구속은 피의자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조사를 받는 상태입니다.

Q3: 구속영장은 언제 필요한가요?

  • 구속영장은 피의자가 도주하거나 증거를 없앨 우려가 있을 때 법원에 요청하는 문서입니다. 영장이 없으면 구속할 수 없습니다.

🏷️ 관련 태그

#법률용어 #고소 #기소 #피소 #구속 #소송 #구속영장 #입건 #법정용어

반응형